#반려동물 #펫테크
📰 SCOOP NEWS
📸 제주창경 ZOOM-IN
- 제주센터 창립 10주년
- 창업 생태계를 만들어온 발자취
|
|
|
📎 펫팸족 1,500만 시대 급성장 중인 반려동물 시장 |
|
|
🖐️띵동~ 안녕하세요! 뉴스레터가 따뜻한 햇살처럼 다시 찾아왔습니다 :)
💌 지난 뉴스레터에서 우리나라의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과 트랜드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을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조금 더 깊이! ‘산업’이라는 렌즈로 반려동물 세상을 들여다보려고 해요.
펫푸드부터 펫테크, 펫헬스케어까지. 이제 반려동물 산업은 단순한 유행이 아닌 ‘시장’으로, 그리고 ‘미래’로 진화하는 중인데요. 반려동물 산업이 얼마나 성장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
|
|
우리나라 반려동물 가구 비율이 25.4%(602만 가구)로 증가한 만큼 반려동물 산업또한 성장했는데요. 특히 동물 미용업과 위탁관리업을 중심으로 지난 👍 2024년 반려동물 관련 영업장 수는 전년과 비교해 14.5% 증가했습니다. 자연스럽게 산업 종사자도 많아졌죠. 2023년에는 코로나19 여파로 잠시 주춤했으나, 👩👩👦👦 2024년 반려동물 관련 영업장 종사자는 2만 9,305명으로 전년 대비 14.9% 증가했습니다.
영업장 수와 종사자 수가 모두 전년 대비 약 14% 이상 증가했는데요. 다른 산업에서는 쉽게 찾아 보기 어려운 수치라고 합니다.
이렇게 🐶 반려동물 산업은 점차 성장해 2027년에는 시장 규모가 6조 5,500억 원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반려동물 산업의 성장세가 가파르게 이어지고 있어, 제주의 역할이 더 기대됩니다. |
|
|
🤵 일과 삶의 균형와 조화가 있는 곳 '제주 워케이션' |
|
|
창밖 풍경이 사무실 벽이 아닌 푸른 들판과 바다가 된다면, 회의도 조금은 가볍게 느껴지지 않을까요. 일과 쉼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새로운 일의 방식, 워케이션. 그 중에서도 🏊♂️ 제주는 자연, 공간, 사람, 관계까지 모두를 연결하는 ‘워케이션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공공형 워케이션 거점 무료 개방 🏢
제주센터는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제주 전역에 걸쳐 공공형·민간현 워케이션 거점을 운영하는데요. 현재 공공형은 운영 중인 공간은 제주시와 서귀포시, 그리고 곧 개소 예정인 함덕권역까지 총 3곳입니다. |
|
|
아일랜드 워크랩: 제주 아일랜드 워크랩: 제주 (예정)아일랜드 워크랩: 함덕 |
|
|
이 공간들은 업무 집중도를 높이면서도, 지역 자원과 조화를 이루는 장소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특히 제주 선호도 전국 1위(23. 11월, 대한상공회의소) 17개 시·도 중 워케이션의 선호지를 물은 결과, ‘제주’(31.8%)를 가장 선호하는 곳으로 뽑았습니다.
📄 워케이션에 참여한 기업과 조직에도 실질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일정 조건을 충족한 기업에게는 제주도청이 발급하는 ‘ESG 실천 확인서’가 제공되며, 이는 KODATA 기업평가 시 가점 부여 항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죠!
|
|
|
🏠 제주 전역의 민간 워케이션 시설 15개소 🏠
제주워케이션은 공공형 공간에만 머무르지 않습니다. 보다 다양한 공간의 선택지를 원하는 참여자를 위해, 제주 전역의 민간 워케이션 시설 15개소와의 제휴를 통해 시설 이용 바우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대표 시설로는 🏝️ 고요산책, 공간7, 디어먼데이제주 마레보비치호텔점, 디어먼데이제주 풀빌라소랑점, 리플로우 제주, 맹그로브 제주시티, 메이커스 산양, 세화질그랭이, 오피스 제주 조천, 위아포트, 콘텐츠 복덕방, 간세, 디어먼데이제주 롯데호텔점, 비레이지, 오피스제주 사계 등 업무와 쉼의 균형을 고려한 특색 있는 공간들이 있어요. |
|
|
자세한 제주 워케이션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세요!
🌏 QR코드 스캔 or 클릭
|
|
|
📓 제주센터 창립 10주년
- 창업 생태계를 만들어온 발자취 |
|
|
❤️ 제주센터가 창립 10돌을 맞이했습니다! 그동안 제주센터는 지역의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데 노력을 쏟았고, '아주 유의미한 성과를 이뤄왔는데요.
먼저 2015년 11개사였던 😀 보육기업이 2024년에는 416개사로 늘어났어요. |
|
|
또 제주센터가 2018년부터 시작한 🖊️ 직접 투자는 2024년까지 55건(누적)이 이뤄졌습니다. 💰 투자금액은 총 52.6억 원(누적)입니다. 여기서 끝이 아니죠! 제주센터로부터 🙋♂️ 직접투자를 받는 스타트업들은 총 901억 원(누적)의 후속 투자를, 🙋♀️ 보육기업 또한 3,779억 원의 후속 투자를 유치했죠. |
|
|
그 결과 투자 시점 당시 1,876억 원이었던 46개 💎 투자 기업의 가치는 2024년 6,134억 원으로 327% 성장했습니다. 발굴·보육·투자를 통한 📈 제주센터의 노력이 단순한 숫자의 변화만 만든 것이 아니라, 제주 창업 생태계의 전반에 새로운 가능성과 가치를 만든 것이죠. |
|
|
더 다양하고 재미있는
제주 스타트업 생태계의 소식을 쉽고 빠르게 만나보세요!
💻매거진 〈J-CONNECT〉 웹진🖥️
▼ 웹진 바로 보기(클릭)
|
|
|
제주 스타트업, 창업생태계, 로컬크리에이터, 기술 혁신 등 다양한 이야기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
|
|
*프로그램 내용을 클릭하면 신청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10주년 필름] 10년의 여정이 만들어낸 생태계 🎉
🎂 2025년, 창립 10주년을 맞이한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는 또 다른 출발 앞에 서있습니다.
앞으로 센터는 제주와 더 가까이 머무르며 더 먼 곳은 바라보는 창업생태계 조성자가 되려고 합니다.
🌈 앞으로의 10년, 한 번 혁신의 여정에 함께해 주시길 바랍니다. 🙏 |
|
|
🌬️TO. 구독자분들
'스쿱레터'는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입니다.
오늘 스쿱이 떠먹여준 스타트업 소식은 어떠셨나요?
앞으로 보고싶은 콘텐츠가 있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 의견을 전해주세요 💓
- Editor 윤 - |
|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전략경영기획팀 | 제주시 중앙로 217 3~4F | 064-710-1923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