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AI #인공지능 #업무 #혁신
🖐띵동~ 안녕하세요! 뉴스레터, 이번엔 AI보다 더 똑똑해져서 돌아왔습니다 :)
🤖 오늘 전해드릴 주제는 바로 요즘 가장 ‘핫’한 단어, AI(인공지능)입니다.
기획안 작성에서부터 보고서 요약, 이미지·영상 생성까지 일상 깊숙이 들어온 AI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기술로 자리 잡고 있죠.
그렇다면, 제주는 이 흐름 속에서 어떤 기회를 만들어가고 있을까요? 오늘 뉴스레터에서는 AI 산업의 트렌드와 제주 스타트업들의 활약까지 흥미롭게 담아봤어요.
함께 AI 시대의 문을 열어볼까요?✨
|
|
|
'이거 AI 광고야~' 광고 속 지드래곤의 한 마디로 시선을 사로잡은 생성형 AI 스타트업 뤼튼(Wrtn)이 2025년 3월, 무려 830억 원의 추가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누적 투자액만 약 1,300억 원. 국내 AI 서비스 플랫폼 가운데에서도 이 정도 규모의 투자는 흔치 않죠. 🤫
‘문서 자동화’에서 시작해 생활 밀착형 AI로 진화하고 있는 뤼튼. 단순한 도구를 넘어 일의 방식을 바꾸는 동료 AI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스쿱레터가 직접 뤼튼테크놀로지스 김태호 이사를 만나, 뤼튼이 어떻게 이 빠른 변화의 흐름 속에서 중심을 잡았는지, 그리고 그 다음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들어봤습니다. |
|
|
✌️ 일상부터 업무까지, 다 되는 뤼튼의 기능들
일정을 챙기고, 관심 있는 뉴스만 쏙 골라주고, 면접 준비까지 도와주는 AI라면 어떨까요? 뤼튼은 바로 그런 일상형 AI를 지향합니다.
SNS 콘텐츠 작성부터 문서 요약, 데이터 분석, 리포트 정리까지—일과 삶을 넘나드는 다채로운 기능들이 한데 모여 있죠. 이런 ‘생활밀착형’ 접근 덕분일까요? 뤼튼은 출시 1년 10개월 만에 월간 이용자 500만 명을 돌파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다채로운 기능으로 일상을 더욱 풍성하게
지난 4월에는 뤼튼이 새롭게 선보인 AI 캐릭터챗 앱 ‘크랙(CRAIC)’이 모바일 엔터 부문 다운로드 1위를 기록했습니다.
캐릭터챗은 이름 그대로 가상의 세계나 설정에 존재하는 캐릭터를 AI가 연기하는 콘텐츠입니다. 사용자는 가상의 캐릭터와 대화를 나누며 직접 이야기에 참여해 몰입감 있게 스토리를 즐길 수 있죠.
김태호 이사는 크랙이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 대전환, 이른바 AX(AI Transformation)를 시도한 결과 중 하나라고 강조했습니다.
👨⚕️ 일상에서 만나는 AI
김태호 이사는 “AI가 특정 전문가만의 도구가 아니라, 누구나 쉽게 일상에서 켜고 쓸 수 있는 서비스가 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뤼튼은 AI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사람이나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모두 일상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는 미래를 그리고 있어요. 메시지를 보낼 때 누구나 카카오톡을 켜는 것처럼, 아침에 눈을 뜨면 뤼튼을 켜는 게 일상이 되는 거죠.” |
|
|
💌 국내 AI 서비스 산업의 선두 주자로 우뚝 선 뤼튼. 전 국민이 일상에서 나만의 AI 비서를 적극 활용하는 날이 올 때까지 AI의 대중화를 고민하겠다는 그들의 행보를 함께 지켜볼까요. |
|
|
▷ 더 자세한 내용 보기 〈J-CONNECT〉 VOL. 34 |
|
|
🌏 맞춤형 AI로 새로운 일의 방식을 여는 원더스랩 |
|
|
생성형 AI의 등장은 전 세계 산업과 기업의 일하는 방식을 바꿔놓고 있죠.
제주센터 투자기업 원더스랩은 이 흐름 속에서 한발 앞서, AI를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함께 일하는 동료’로 바라보며 새로운 길을 열고 있어요.
바로 '기업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도입을 지원하면서, 조직의 특성과 업무 패턴에 맞춘 ‘일 잘하는 AI’를 만들어내고 것이죠.
🤝 스쿱레터가 직접 만난 원더스랩 한의선 대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
|
|
기업 맞춤형 AI 에이전트는 기존의 AI 어시스턴트와는 무엇이 다른가요?
어시스턴트는 '보조' 역할인 거잖아요. 기업 맞춤형 AI 에이전트는 파트너의 개념이에요. 자사의 조직과 업무 특성, 산업 분야에 전문화 및 최적화되어 있고, 데이터를 학습해 성장하면서 그 조직에서 성과를 내는 업무 파트너인 거죠.
🥇모두들 일잘러 동료와 일하고 싶을 거잖아요. 기업 맞춤형 AI 에이전트는 이 일 잘하는 동료에 비유할 수 있어요. 공부만 잘하는 사람보다는 우리 기업에 잘 맞고 일을 잘하는 사람을 선호하듯이 말이죠. 그래서 기업 고객들에게 ‘AI 구독하지 말고, 채용하세요’라는 말을 하게 됐어요.
기업에 맞는 AI 에이전트를 만드는 데 어렵지는 않나요?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지나요?
저희는 이 과정을 ✨ABC 프로세스라 명명했습니다. 1️⃣A(Architects) 단계에서는 기업 리더분들과 세미나 형태로 논의해 AI가 어디에 필요한지 찾아나가며 2회 정도 세미나를 통해 MVP 버전을 만들어 드립니다. 2️⃣B(Build) 단계에서는 MVP(Minimum Viable Product)를 사용해 보고 더 적합한 맞춤형 AI를 원한다면 최종 버전을 개발합니다. 챗봇 형태 요청도 늘었는데, 고객사 니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요. 3️⃣C(Cultivate) 단계에서는 실제 업무 투입 후 지속적인 학습과 운영 관리를 진행하죠. 맞춤형 AI 에이전트 설계는 AI 기술 전문성과 업무 프로세스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외부 관점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비즈니스 경험과 컨설팅 역량이 있는 전문 인력도 갖추고 있습니다.
한 기사에서 ‘AI를 채용하세요’라고 하셨던 말이 눈에 띕니다. AI를 단순한 도구로 보는 대신, 회사에 채용된 직원처럼 바라보자는 뜻입니다. 새로운 직원이 들어오면 그 사람의 역할이 생기고, 협업이 이루어지듯이 말이죠. 신입 직원을 채용하면 처음에는 서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회사 문화에 적응하고 노하우를 쌓으며 대체하기 어려운 인적자원이 되잖아요. AI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회사의 DNA를 담은, 특정 업무에 전문화된 AI가 최고죠. 예를 들어 고객 상담 단계에서 AI가 데이터를 쌓으면, 나중에는 일정 부분 상담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축적된 데이터는 마케팅 부서로 연결되어 또 다른 AI와 시너지 효과도 낼 수 있죠. 이렇게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게 됩니다.
제주센터로부터 시드투자를 받으셨고, 이어 팁스 프로그램에도 선정되셨습니다. 팁스로 어떤 과제를 수행할 계획인가요? 저희 팁스 과제는 🏆'마스터 AI 에이전트'입니다. 현재는 개별업무 단위의 '워커 AI'를 만들고 있지만, 팀원이 많아지면 팀장이 필요하듯이, 여러 AI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내년에는 이 마스터 AI가 기업 내 HR팀처럼 역할을 하 게 될 겁니다. AI 모델은 다양해지고, 데이터는 점점 쌓이기 때문에 이를 중앙에서 관리할 존재가 필요하죠. 그래야 AI도 성장하고 서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니까요. 그 역할을 마스터 AI 에이전트가 하는 거죠.
|
|
|
원더스랩은 단순히 기술을 제공하는 회사를 넘어, 기업과 개인이 AI와 함께 새로운 방식으로 일하고 성장하도록 돕고 있어요. 원더스랩의 도전과 '일 잘하는 AI 에이전트'의 가능성을 함께 지켜볼까요! |
|
|
▷ 더 자세한 내용 보기 〈J-CONNECT〉 VOL. 34 |
|
|
🌐 동북아를 잇는 해상 네트워크를 만든 장보고 |
|
|
9세기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 해상 무역이 발전한 시기였어요. 한·중·일 사이에 금, 은, 도자기, 약재 서, 적, 모피, 비단 등이 활발하게 거래됐고, 페르시아와 아랍 상인까지도 오갔죠.
이런 해상 네트워크는 청해진(淸海鎭)을 설치해 해적을 소탕하고 당–신라–일본을 잇는 안전한 해상 네트워크를 구축한 장보고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하는데요.
🚢장보고의 일대기는 지금 제주 스타트업들의 모습과 많이 닮아 있어요. 그 옛날 장보고가 동북아시아에서 실현했던 가치와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도 해외 진출 기반을 마련하고 새로운 연결과 기회를 만드는 제주 창업가들의 정신이 맞닿아 있기 때문입니다.
재미있는 4컷 만화를 통해 한번 살펴 볼까요? |
|
|
더 다양하고 재미있는
제주 스타트업 생태계의 소식을 쉽고 빠르게 만나보세요!
💻매거진 〈J-CONNECT〉 웹진🖥️
▼ 웹진 바로 보기(클릭)
|
|
|
제주 스타트업, 창업생태계, 로컬크리에이터, 기술 혁신 등 다양한 이야기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
|
|
*프로그램 내용을 클릭하면 신청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TO. 구독자분들
'스쿱레터'는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입니다.
오늘 스쿱이 떠먹여준 스타트업 소식은 어떠셨나요?
이번 콘텐츠에 대한 의견을 에디터에게 전해주세요 💓
- Editor 윤(mail to pyh0920@ccei.kr) - |
|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혁신전략팀 | 제주시 중앙로 217 3~4F | 064-710-1923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