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AI #인공지능 #업무 #혁신
📰 SCOOP NEWS
📸 J-스타트업 생태계 ZOOM-IN
- 제주 로컬이 만드는 미래
-제주 크리에이터 경제 모델 비전 선포식
|
|
|
🍂씨잉~ 안녕하세요! 이제는 푹푹 찌는 더위가 물러가고 밤낮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데요, 시원한 바람을 타고 찾아온 뉴스레터 '스쿱'입니다!
조금씩 바람이 달라지는 요즘, 일하는 방식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는 걸 느끼고 계신가요? 바로 AI가 도구를 넘어 동료가 되는 시대인데요. 이 변화의 흐름을 누구보다 날카롭게 읽고 기업들이 있습니다. 바로 업스테이지와 카카오엔터프라이즈·디케이테크인이죠.
💻 이번 인터뷰에서는 두 기업이 바라보는 AX(AI Transformation)의 방향성과 함께, 앞으로 제주에서 AI가 만들어갈 새로운 가능성을 함께 내다봤습니다.
⛰️ 한편, 제주에서는 또 다른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해요.
‘크리에이터 경제 비전 선포’를 통해 지역에서 출발한 창조적 연결을 통해 로컬의 미래를 다시 쓰고 있다고 해요.
AI와 로컬 두 물결이 만들어내는 변화를 스쿱에서 함께 짚어봅니다!🌈
|
|
|
☝️ AI 시대, 인간의 역할은 더 뚜렷해진다 |
|
|
지난 6월, 새 정부는 AI 기술이 국가의 전략 자산 수준으로 중요함을 인식하고, 우리나라도 기술 자립과 주권 확보 차원에서 경쟁력 있는 자체 모델 기술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판단으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바로 국가대표 AI를 만들겠다는 건데요!🇰🇷
이 프로젝트에 네이버, LG, SKT, NC 등 이름 있는 기업과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한 스타트업! 바로 업스테이지입니다. 🏆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지난 JOIN 2025' 무대에 올라 ‘AI 시대의 산업과 창업의 방향 그리고 기회’라는 주제로 한 강연도 펼쳤는데요.
그 현장도 스쿱이 함께했습니다!👨⚕️ |
|
|
🌏 누구나 쉽게 쓰는 AI를 만드는 업스테이지
홍콩과학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이자 MIT 박사후 연구원 출신인 김성훈 대표는 네이버 클로바 AI 총괄을 맡았던 경험을 기반으로 2020년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는 유익한 인공지능을 만들자’는 목표하에 업스테이지를 창업했습니다.
특히 문서에서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종합 보고서 작성이나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되는 AI 기반의 광학문자인식(OCR) 기술의 처리 속도에서는 업스테이지가 세계 1위를 달리고 있죠.
또 최근 출시한 소규모 언어 모델(SLM) ‘솔라 프로 2’는 글로벌 AI 벤치마크에서 12위를 차지하며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순위권에 진입했습니다.
|
|
|
‘AI 시대의 산업과 창업의 방향 그리고 기회’를 주제로 한 강연 |
|
|
🤝 AI와 경쟁하지 말고, 함께 일하기
이렇게 빠른 기술의 발전을 이뤄가고 있는 업스테이지이지만, 김성훈 대표는 기술 발전의 속도에 휩쓸리면 개인과 조직의 일거리, 더 나아가 부(富)가 기술에 잠식될 수 있다고 경고했어요.
“제가 드리고 싶은 핵심 메시지는 단순합니다. AI와 경쟁하지 말고, AI와 연합하세요. 반복·정형 업무는 AI로 해결하고, 사람은 판단·협상·창의·책임 같은 본질 작업에 에너지를 쓰면 됩니다. 그렇게 하면 ‘AI가 우리의 일을 빼앗는 것이 아니라, AI가 우리의 일을 확장’하게 될 겁니다.”
김성훈 대표는 제주 AI 산업의 미래에 대해서도 조언했습니다. 특히 관광, 우주항공, 재생에너지 등 제주의 좋은 자원과 AI와 결합되면 분명 시너지 효과가 나온다는 것이죠.
“AI 발전은 제주뿐 아니라 모든 지역에 새로운 기회를 가져올 겁니다. 핵심은 서비스와 데이터를 동시에 설계하는 것이죠. 데이터가 자생적으로 축적되게 해야 합니다. 이 데이터가 있는 AI와 없는 AI의 차이는 분명하니까요. 제주라면 관광이나 농업, 우주항공, 재생에너지 등을 예로 들 수 있겠죠. ”
|
|
|
✨김성훈 대표는 AI가 빠르게 변화시키는 시대 속에서도 결국 중요한 건 사람과 지역, 그리고 우리가 쌓아가는 경험과 데이터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했어요.
‘AI와 경쟁하지 않고, 함께 연합하는 법’을 찾을 때, 제주와 우리 모두의 미래는 더욱 단단하고 풍요로워질 것입니다. 사람과 AI가 함께 그려갈 제주의 미래를 기대해 볼까요! |
|
|
🌻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AI 도입·활용·고도화가 발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다방면의 협력을 통해 제주도와 함께 AX 시대를 열어가는 이들이 있는데요. 바로 카카오 그룹의 대표 B2B 기업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디케이테크인입니다.
🎂 바로 이 두 회사의 기술력과 역량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비즈니스 시너지를 내고 있는 이원주 대표를 만나봤는데요. 제주도와의 특별한 인연에 대해서도 말씀해 주셨다고 해요. 한번 살펴볼까요? |
|
|
💬 IT·AI 전문가로서 미래 핵심 분야로 손꼽히는 AI 산업의 현황과 흐름을 어떻게 바라보고 계신가요?
- AI가 산업계의 핵심 기술로 부상하다 보니 각국 및 관련 기업의 ‘데이터 주권’, 특정 국가 또는 조직이 자국 내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통제하는 ‘소버린(Sovereign) AI’ 등의 키워드도 급부상 중입니다. 국가적인 AI 역량강화를 위해 민간 영역에서도 GPU를 비롯한 AI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디케이테크인은 AI 산업과 관련해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와 다방면으로 협업하고 있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 디케이테크인은 지난해 청년 연계형 오픈이노베이션을 시작으로 올해도 제주센터와 ‘2025 AI 테크인 오픈 그라운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지역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도와 지금껏 수많은 스타트업을 성공적으로 발굴·육성한 경험 및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제주센터와의 협업에 나선 결정적 이유죠.
💬 어떤 방식으로 AI 기술을 활용해야 제주도의 주요 산업이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까요?
- 정말 다양하고 많은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감귤 재배 시 AI 기반 스마트팜 시스템을 활용하면 품질과 수확량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죠. AI 기술을 접목한 센서를 활용해 어획량을 기대 이상으로 끌어올릴 수도 있겠죠. 생태계 보호 및 복원에도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임팩트, 모두의연구소와 함께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테크포임팩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제주남방큰돌고래 서식지 보호를 위해 드론 영상을 AI 분석하는 웹 서비스 ‘DVA(Drone Video Analysis) LAB’을 비롯해 다양한 프로젝트의 성공을 지원했죠.
💬 대표님과 제주도와의 인연이 깊다고 들었어요. 그래서인지 제주도에 대한 애정이 상당하신 것 같습니다.
- 2010년부터 5년간 제주에서 근무했어요. 그때 온 가족이 제주에 터를 잡았고, 둘째 아이가 제주에서 태어났죠. 2010년부터 2년 동안 제주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산학협력 프로그램 ‘카카오트랙’을 운영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제가 살았던 집에는 현재 부모님이 거주하고 계시고요. 제가 대표직을 맡고 있는 두 회사의 직원 상당수도 제주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말하고 보니 업무적으로도, 개인적으로도 제주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가 됐네요.(웃음)
|
|
|
이원주 대표는 AI 분야의 스타트업과 창업가에게도 전하고 싶은 말을 남겼어요.
🎯"기술에만 매몰되지 말고 문제에 집중’하시길 바랍니다. AI 기술 자체를 고도화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 사업의 성패는 ‘우리의 AI 서비스로 고객이 느끼고 있는 불편함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달려 있습니다. 이 점을 상기하며 사업에 임한다면 ‘사람을 향한 혁신적 AI 기술’을 탄생시킬 가능성이 한결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
|
📣 제주 크리에이터 경제모델 비전 선포식
8월 22일 스타트업베이에서는 ‘제주 크리에이터 경제모델’ 비전 선포식이 열렸어요. 제주센터와 제주특별자치도가 함께 제주 로컬이 가진 잠재력을 산업으로 연결하고, 크리에이터가 곧 경제의 주체임을 알리는 🔑‘제주 크리에이터 경제모델’을 설계하고, 미래 비전을 선포한 것인데요.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와 제주 크리에이터 5인이 함께 ‘크리에이터의 힘으로 제주를 함께 혁신하겠다’는 비전을 선언하며 1️⃣핵심 기업(앵커기업) 육성을 통한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 2️⃣지역공동체와 상생하는 창작 생태계 조성, 3️⃣제주다움 콘텐츠 특화 및 역량 강화, 4️⃣지원체계 통합을 통한 정책 일관성 확보라는 4대 실행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큰 한 걸음을 내디딘 것입니다. |
|
|
제주 크리에이터 경제모델 비전을 선포하는 오영훈 도지사와 크리에이터 |
|
|
👂 현장에서 미래로 이어지는 발걸음 이번 비전 선포식 이후 오는 연말까지 제주도 전역을 순회하며 제주 크리에이터 경제모델을 알리고, 각 지역의 생생한 현장 이야기를 청취하는 정책 강청회가 진행돼요.
강청회 결과를 반영해 내년부터는 ‘제주 로컬 기반 앵커 기업 육성 지원 강화’, ‘제주 크리에이터 성장을 위한 투·융자 시스템 구축’, ‘제주 크리에이터 콘텐츠 타운 조성’을 목표로 한 제주 크리에이터 경제모델 정책이 시행될 예정입니다! |
|
|
K-브랜드의 가능성을 시험하러 호치민 MEGA US EXPO 2025로 출동!
✨ 오션밸류업 프로그램의 글로벌 진출편
🔥 스타트업 부스 운영부터 피칭, 네트워킹까지
🎤 그리고 틈틈이 담아낸 출장자들의 리얼한 이야기들
5일간의 뜨겁고 알찬 출장, 영상으로 함께 떠나요! |
|
|
K-브랜드, 베트남에서 통할까? | 창경 똥새기들 ep.21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
|
|
더 다양하고 재미있는
제주 스타트업 생태계의 소식을 쉽고 빠르게 만나보세요!
💻매거진 〈J-CONNECT〉 웹진🖥️
▼ 웹진 바로 보기(클릭)
|
|
|
제주 스타트업, 창업생태계, 로컬크리에이터, 기술 혁신 등 다양한 이야기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
|
|
*프로그램 내용을 클릭하면 신청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TO. 구독자분들
'스쿱레터'는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입니다.
오늘 스쿱이 떠먹여준 스타트업 소식은 어떠셨나요?
이번 콘텐츠에 대한 의견을 에디터에게 전해주세요 💓
- Editor 윤(mail to pyh0920@ccei.kr) - |
|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혁신전략팀 | 제주시 중앙로 217 3~4F | 064-710-1923
|
|
|
|
|